전 체 옥Che Ok Jeon / 교수


담당과목: 미생물생태학 미생물생리학
전공: 환경미생물학/미생물생태학
교수실 위치: 102동 205호
연구실 위치: 102동 205호
Website: http://embl.cau.ac.kr
Email: cojeon@cau.ac.kr
담당과목
- 미생물생태학
- 미생물생리학
학력 및 주요 경력
- 학력
-
1989년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 학사 -
1991년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 석사 -
2000년 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박사 - 주요 경력
-
1991년 아모레퍼시픽 중앙연구소 연구원 -
2001년 Cornell University, Post-doc -
2000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ost-doc, 선임연구원 -
2004년 경상대학교 환경생명과학부 조교수 -
2008년 ~ 현재 중앙대학교 생명과학과 부교수, 교수
연구 분야
다중 메타오믹스 분석을 통한 미생물 생태학 연구
메타지노믹스, 메타트랜스크립토믹스, 메타볼로믹스 분석을 통한 핵심미생물 및 기능규명
메타오믹스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생물간 상호관계 규명
조류-미생물 상호관계 연구
메타지노믹스, 메타트랜스크립토믹스 분석을 통한 핵심 조류 공생미생물 규명
메타볼로믹스 (LC/MS, GC/MS 등) 분석을 통한 미생물간 상호핵심 인자 규명
컬쳐로믹스(culturomics)을 통한 난배양성 미생물 배양
미생물 유전학적, 대사적 특성 규명 및 유용유전자 활용 연구
미생물 유전학적, 대사적 특성 연구(대사과정 재구성 및 대사 특성 연구)
미생물 유전자 기능 및 발현 특성규명
대용량 유전정보에서 유용유전자원 발굴 및 활용
환경오염 물질 분해 특성 연구
오염환경에서 오염물질 분해 핵심 미생물 규명
난분해성 오염물질 분해 미생물 분리
난분해성 물질 분해 특성 분석 (유전체, LC/Q-Tof 분석 등)
최신 연구 논문
Jung J et al. 2022 The self-bleaching process of Microcystis aeruginosa is delayed by a symbiotic bacterium Pseudomonas sp. MAE1-K and promoted by methionine deficiency. Microbiol. Spectr. 10:01814-22.
Kim KHet al. 2022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jor bile acid 7α-dehydroxylating bacteria in the human gut. mSystems. 7:e00455-22.
Baek JH et al. 2022 Elucidating the biodegradation pathway and catabolic genes of benzophenone-3 in Rhodococcus sp. S2-17. Environ. Pollut. 299:118890.Jia B et al. 2022 Discovery and mining of enzymes from the human gut microbiome. Trends Biotechnol. 40:240-254.
Chun BH et al. 2021 Metabolic features of ganjang (a Korean traditional soy sauce) fermentation revealed by genome-centered metatranscriptomics. mSystems. 6:e00441-21.Jia B et al. 2020 Metagenomic analysis of the human microbiome reveal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bundance of gut bile salt hydrolases and host health. Gut Microbes. 11:1300–1313.